연산자 활용하기
Falsy
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, 연산자에서 가장 중요한 falsy를 먼저 알아보자.
0 |
'' (빈 문자열) |
null |
undefined |
NaN |
falsy에는 위 다섯가지 종류가 있다.
저 값을 칠 경우 거짓으로 나온다.
그럼 이제 네가지 연산자를 활용하는 법을 알아보겠다.
||
or 이라는 의미의 연산자이다.
평소 조건문에서 두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할 때 로직을 진행하는 식으로 종종 사용했다.
하지만 더 나아가
return result || 'no result'
이런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!
왼쪽 값이 거짓이면(없으면), 오른쪽 값을 내보내줘!
??
이건 처음보는 연산자였다.
||와 사용법이 비슷하다.
return result ?? 'no result'
하지만,
위 설명한 5개의 falsy가 모두 적용되는 ||와 달리,
??는 null, undefined인 경우에만 거짓으로 해석된다.
따라서 때에 따라 ''나 0을 참으로 보내야할 때 사용하면 적합할 듯 하다.
&&
and이다. 이것도 조건문에서 많이 사용했다.
하지만 진짜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.
return result && 'result is true'
왼쪽값이 참이면 오른쪽 값을 내보내는 방식이다.
result가 거짓이면 result가 반환된다.
?
마지막, 이것도 처음본다.
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값이 없을 때 에러가 뜨는 경우가 종종 있다.
이러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없을 수도 있는 값 뒤에 ?를 붙여주면 에러 대신 undefined를 반환한다.
//user.profile.name이 없는 값이라고 가정했을 때
return user.profile.name //error
return user.profile.name? //undefined
undefined를 활용해서 undefined면 '값 없음' 출력 이런식으로 활용하면 좋을 듯 하다.
공부를 하면 할수록 새로운 게 계속 있고,
원래 복잡하게 사용하던 것들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때마다 너무 신나고 경이롭다.
공부 더 열심히 해서 더 간단하고 좋은 코드를 써야지
'WEB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/공부] this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javaScript/공부] 깊은 복사, 얕은 복사 (0) | 2025.01.07 |
[javaScript/공부] 데이터 타입(Data Type) (0) | 2025.01.06 |
[javaScript/공부] 변수 알아보기 (0) | 2025.01.06 |
[javaScript/공부] 화살표 함수, this, 호이스팅을 알아보자 (1) | 2025.01.02 |